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rogramming161

테크 세미나 : 데이터 시각화 해당 글은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에서 (42 seoul) 인턴쉽 과정 중 필자가 자체 기술 세미나를 진행했던 내용입니다. 진행했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작성하겠습니다~ 2020.07.20 (WED) | Kookmin Univ 인턴 : 윤준호 인턴 기간동안 저를 포함한 인턴 분들은 인턴들을 관리, 교육을 해주신 이호준 멘토님과 함께 자체 기술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큰 주제로부터 시작하여 세분화된 주제들까지 진행을 하였습니다. 제가 맡은 주제는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세미나였습니다. 데이터 시각화란 무엇인가 정의를 알아보며 시작하였습니다. 사람은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나 현재의 수치에 대해서 텍스트로 정보를 전달을 받게 된다면, 그 결과를 한 번 더 생각하여 어느 정도의 수치인지, 다시 생각을 해야 하는 과.. 2020. 8. 21.
필립스 G614 기계식 키보드 (갈축), 메탈 골드 키캡, 로지텍 G302 게이밍 마우스 (유선) 일단 저는 타닥 거리는 키보드 소리가 나는 것은 좋아하지만 소리가 너무 크게 나 시끄러운 것은 좋아하지 않습니다.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청축, 적축, 갈축 이 있습니다. 청축이 가장 보편적인 키보드이고, 찰칵 거리는 느낌이 많이 나고, 타격감과 타건감이 강합니다. 하지만 클릭소리가 굉장히 커서 pc방에서는 자주 쓰이지만 개인용 키보드로는 그렇게 추천 드리지는 않습니다. 적축은 소리가 가장 없고 타건감이 부드러운 특징을 가집니다. 키압도 가벼운 편에 속합니다. 갈축은 소음과 키압이 청축과 적축의 중간 정도입니다. 저는 게임보다 코딩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키보드를 많이 치기 때문에 소리가 너무 크게 나는 청축은 사용을 할 수 없었습니다. 키보드의 우측 상단에는 3개의 버튼과 1개의 큰 휠이 있습니다. 큰 휠이.. 2020. 1. 23.
프로그래머스 - K번째수 (배열의 분리 정렬) 정렬 알고리즘의 실습.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기에 프로그래머스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프로그래머스에 있는 연습문제들을 풀어보려 한다. 이해하기 어렵지 않게, 익숙지 않은 라이브러리를 가져와 구현하는 방법은 최소화하려 한다. 기본에 충실해 최대한 이해를 하고 넘어가도록 설명을 하려 한다. 해당 문제는 프로그래머스의 K번째수 라는 연습문제입니다. ============================================================================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 2019. 12. 26.
한 번에 정리하는 정렬 알고리즘 이번 포스팅은 c++, Java, Python 등 프로그래밍 및 자료구조, 이산수학, 화일처리 등에서 배우는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 다룰 것이다. 항상 정렬 알고리즘을 배우고, 직접 구현을 해도 항상 머리속에 남질 않는다. 코드로 아무리 봐도 머리속에 남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시각적인 애니메이션과 함께 설명을 하려 한다. 정렬 알고리즘은 한 번 정도는 확실하게 익히고 갈 필요성이 있다. 많은 정렬 알고리즘들이 존재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선 가장 기본적인 5가지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merge sort (합병 정렬) insertion sort (삽입 정렬) selection sort (선택 정렬) bubble sort (버블 정렬) quick sort (퀵 정렬) 1. merge sort (합병.. 2019. 12. 23.
c++ 알고리즘 피보나치수 - 왜 시간초과가 뜰까? 프로그래머스 혹은 백준 알고리즘과 같은 플랙폼에서 연습문제를 풀어볼 시에, 우리는 솔루션으로 피보나치를 사용하면 풀리는 문제들을 많이 만났을 것이다. 피보나치로 풀면 되겠다고 기뻐했지만, 문제를 피보나치로 구현을 하면 답은 맞는데 계속 시간 초과가 뜨는 문제들을 만나 당황을 했던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결을 할까? 프로그래머스의 연습문제 중 하나를 예로 가져왔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45 이러한 문제들은 명시적으로 피보나치라고 말을 하였기에 피보나치로 해결을 해야 한다는 것은 바로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구현을 int fibo(n) 혹은 long fibo(n) 과 같은 형식으로 함수로 만들어 fib.. 2019.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