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hub 연결하기2 프로젝트 깃허브 연결하기 로컬에서 작업하던 프로젝트들을 github 연동을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github 로그인 - 우측 상단 프로필 아이콘 - Your repositories - New2. 생성된 저장소 주소 복사 3. 프로젝트의 콘솔에서 (터미널로 cd 로 찾아 들어가거나, vscode 기준 control + shift + ~ 로 켤 수 있음) git init 으로 지금 이 프로젝트를 깃 저장소로 설정$ git init이후 git 저장소를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깃헙에서HTTPS복사한주소 4. 해당 프로젝트의 내용들을 깃에 올리기 git add . : 현재 프로젝트의 모든 변경 내용을 다음 push 내용에 담는다$ git add . git commit -m "올릴 내용" : 담아진 변.. 2024. 7. 9. 새로운 기기 깃허브 저장소 연결, github 비밀번호 없이 사용하기 18개월간의 길다면 길고 짧다면 또 짧을 수 있는 근무 후 이직을 결정하여 스타트업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이직의 근본적인 이유는 본인이 지금의 회사에 만족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뜻이겠지요. 하여튼, 기존에 사용하던 맥북을 반납 후 개인 맥북으로 프로젝트를 하려고 했습니다. 여러가지 오류가 발생하더군요, 카페에서 육두문자를 중얼거리며 삽질을 해본 후 에러 사항들과 이에 대한 해결 방법들을 적어보려 합니다. 여러 문제들을 다 써봤어요 한번 같이 따라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서 올려요 처음부터 같이 할게요. 1. 깃허브 저장소 연결하기 1. 깃허브에 접속하여 New repository를 누릅니다. 저는 public으로 만들 것이고, Add a README file 을 체크하였습니다. 2. .. 2022. 4. 27. 이전 1 다음 반응형